본문 바로가기

조헬퍼_다이어트상식

다이어트의 시작 - 체성분 분석(인바디)측정 ②편

안녕하세요 조헬퍼입니다 :D

 

 

어제에 이어 오늘은

체성분측정결과 해석에 대해 알아볼게요.

 

 

아래 있는 검사결과지는 오늘 이 글을 쓰기 위해

작년부터 준비해 왔던(?) 자료입니다.

드디어 공개하네요ㅜㅜ

 

 

 

조헬퍼 인바디

 

 

 

 

먼저, 맨 상단을 보시면 회원번호/신장/나이/성별을 

기록하게 되어있는데

이는 성별과 연령, 신장에 따른

수치가 "표준"인지 "표준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척도가 됩니다

따라서 정확히 작성해 주셔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요

(나이는 만 나이로 작성)

 

 

 

▶ TIP ◀

 

핸드폰번호를 등록하면 결괏값이 [인바디 app]을 통해

휴대폰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꼭 번호를 등록시켜서 데이터 관리하세요~

 

 

 

▼인바디 app 바로가기 링크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inbody2014.inbody&hl=ko&gl=US&pli=1

 

 

 

인바디 결과 데이터

 

 

인바디 측정 후 프린터로 인쇄되거나, 

app으로 연동되어 위와 같은 여러 데이터를 

한눈에 볼 수 있게 출력됩니다.

하지만 많은 지표는 혼란만 야기시킬 뿐, 

딱 3가지 차트(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해 보겠습니다.

 

 

 

 

첫 번째 - [골격근 지방분석] 차트입니다. 

 

 

 

 

위에서부터 아래로

◎체중(Kg)

◎골격근량(Kg)

◎체지방량(Kg)

 

왼쪽에서 오른쪽으로는 

│표준이하│표준│표준 이상│

 

이렇게 항목이 있습니다

 

 

조헬퍼의 결과지를 보면서 이야기드릴게요

 

조헬퍼의 체중 80kg으로 

표준보다 조금 더 높습니다

(표준범위 < 80kg)

이 의미는 그래프에서 

"표준 이상"이라고 명시됩니다.

 

골격 근량 36.2kg으로

마찬가지로 표준보다 높네요

(표준범위 < 36.2kg)

마 찬가지로 "표준이상"이고요

 

 

마지막으로 체지방량은 

16.3kg으로

표준 중에서도 꽉 찬 표준입니다

(표준범위 = 16.3kg)

체지방은 "표준"입니다.

 

이것이 기본적인 해석의 접근법인데요 

헬스장에 트레이너들은 위와 같은 데이터를 가지고

어떻게 분석하느냐 하면요?

 

 

▶ I형

▶ C형

▶ D형

 

위와 같이,

'oo형 체형'이라고 설명을 시작합니다.

그렇게 분석한 까닭을 지금 바로 저와 함께 살펴보실게요

 

                   

조헬퍼 I형

 

 

조헬퍼의 그래프를 보면 끝선이 가지런히 아래로 내려와 있는

I형 체형을 가진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조몸짱 트레이너

조몸짱 트레이너의 그래프인데요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고,

체중조절이 잘 되어 있는 조몸짱 트레이너는

근육량이 체중과 체지방량보다 높은

D형 체형을 가지고 있군요!

 

 

 

 

김뚱뚱 회원님

 

마지막으로

365일 다이어트를 하고 있는

김뚱뚱 회원님은

근육량이 체중과 체지방량보다 적은

C형 체형을 가지고 있어요.

 

 

 

앞서 그래프에서 확인 한 I, D, C형 체형은 

체중대비 근육량 or  체지방량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사용하는데

 

(I형) 지방과 근육이 비슷하다

(D형) 지방보다 근육이 많다

(C형) 지방보다 근육이 적다

 

 

근육이 적은 사람은 체력적으로 쉽게 지치고 피곤해지는 반면

근육이 지방보다 많은 사람은 활동적이거나, 체력적으로 뒷받침이 된답니다.

 

 

목표를 잡을 땐

D형 → I형 → C형으로 목표를 잡고 운동을 하시면

인바디를 재면서 변해가는 내 모습을 통해 

성취감과 함께 동기부여가 되실 거예요.

 

 

 

 

 

 

두 번째- [비만진단] 차트예요

 

비만진단 차트

 

 

 

위의 차트는 2가지 지표를 엮어서 보여줍니다.

1. BMI

2. 체지방률 

 

 

신체질량지수라고 하는 BMI

(Body Mass Index)

 

 

체중(Kg) ÷ 신장(M)²

 

 

 

예를 들어, 키가 176Cm 체중이 80Kg인

조헬퍼의 BMI =  25.8이 됩니다.

 

 

위 값은 표준이상에 해당되는 값으로 

남녀 모두 18.5 ~ 23의 사잇값을 표준값으로 정해두고 있습니다.

 

 

 

사실 이 차트레는 한 가지 커다란 오류가 있는데요,

비만지표이다 보니 표준이상이 되면 비만인 듯하여도

BMI만 가지고 비만을 판단할 수가 없습니다. 아래의 예를 보시죠

 

예) 조몸짱 트레이너는

예) 조몸짱 트레이너는 신장 170cm
      체중은 71kg
      골격근량 36.7kg
      체지방량 7kg으로 
      D형체형으로 근육질의 체형을 가지고 있지만,
      BMI를 보면 "표준이상"으로 표시된다.

 

위의 예시를 토대로 BMI를 산출하면 

 

71(kg) ÷ 1.70²(m)

= 71(kg) ÷ 2.89(m)

 

BMI = 24.5로 "표준이상"이 되는군요.

 

 

 

이런 결과가 나오는 이유는 

'대상의 근육량과 지방량을 고려하지 않고 체중만을 고려했다'

는 점입니다.

 

따라서, 근육량이 많아 체중이 높은 조몸짱 트레이너도 

BMI지수가 높게 나올 수 있다는 게 함정이죠

 

 

이러한 맹점 때문에 점점 신뢰성을 잃어가고 있는 결괏값이지만,

인바디의 다양한 분석을 위해서 채택되어 출력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체지방률은 어떻까요? 

BMI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확한 값을 나타내는데요

그 이유는 전체 체중 중에 체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기 때문이죠

 

건강한 남성을 기준으로는 10~20%

건강한 여성을 기준으로는 18~28%

 

의 체지방률을 기준으로 정해 놓았습니다. 

 

 

 

▶ TIP ◀

 

생리학적 이유 때문에,

지방률

남성 < 여성

인데요.

 

이는 매우 정상적인 결과이며, 

합리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여성 중에서도 [가임기 여성] [불임기 여성]

나누어서 결과를 봐야 하는데

가임기 여성의 지방률이 높은 이유는

"임신"이라는 과정을 통해 뱃속에 태아를 위한

영양분을 저장 / 공급하기 위해서 지방을 축적하는데요

 

지방의 역할은 크게

'에너지의 비축'과, '열발생'에 효율적이라는 것이죠.

따라서, 자궁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태아에 에너지 및 열을 전달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입니다.

 

 

이러한 지방의 이점과 역할을 모른 채,

무턱대고 빼기만 하는 다이어트를 고집한다면,

우리에게 다이어트는 몸을 망치며 

스트레스만 받게 되는

'독'이 될 뿐입니다.

 

 

 


말재주가 없어 두서없이 쓴 글이지만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요.
저는 여러분의 건강과 행복을 
끝까지 응원하겠습니다!

 

(여러분의 관심과 댓글은 
글을 쓰는 제게 큰 힘이 됩니다★)